"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연극 <레드> '켄' 독백 for 연기과
본문 바로가기

Actor’s Lab: Backstage 우리만의 공간

연극 <레드> '켄' 독백 for 연기과

반응형

중앙대학교에 합격할 수 있게 해줬던 정이 많은 독백들입니다.

추가로 독백을 원하시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켄의 독백 4개

켄과 로스코의 모습
출처 - town topics


[독백 1] - 감정 폭발 (강한 분노와 해방)

(켄이 로스코에게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지 못한 것에 대한 분노를 터뜨린다.)

켄:
(격앙된 목소리로)
"제가 어디 사는지 아세요? 업타운? 다운타운? 브룩클린?
제가 결혼을 했을까요? 연애 중일까요? 동성애자? 아니면 뭘까요?
여기서 일한 게 2년째예요! 하루 8시간, 주 5일을요.
근데 선생님은 저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시죠.
같이 저녁이라도 먹자는 말씀 없으셨죠.
집에 부르신 적도 없고요.

(숨을 몰아쉬며)
제가 화가인 건 아시죠? 그렇죠?
한 번이라도 제 그림 보자고 하신 적 있나요?
아뇨. 정확히 말해보세요. 제가 화가인 걸 아시죠?
(목소리를 높이며)
그럼 왜 한 번도 제 그림을 보자고 하지 않으셨죠?!
여기 있는 모든 건 선생님에 대한 거예요!
선생님이 중요하죠. 선생님이!
하지만 저는요? 저는 대체 뭡니까?"

🎭 연기 코멘트:
이 독백은 억눌렸던 감정이 폭발하는 순간이다. 처음엔 차분하게 시작하지만, 점점 분노와 억울함이 터져 나와야 한다. 켄의 감정이 극도로 고조되는 순간, 숨을 몰아쉬고 목소리를 점점 키우며 감정을 절정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연극 레드의 장면
출처 -RVA NEWS


[독백 2] - 깊은 트라우마 (슬픔과 충격)

(켄이 부모님의 살해 장면을 회상하며 트라우마를 고백하는 장면)

켄:
(고통스럽게 과거를 떠올리며)
"아침에 일어났을 때 처음 본 건 창밖에 쌓여 있던 눈이었어요.
썰매 타러 갈 수 있어서 기뻤죠.
아빠는 항상 눈이 오는 토요일이면 저랑 여동생을 데리고 썰매 타러 가셨거든요.
그런데... 그런데, 이상하게 아무 냄새도 나지 않는 거예요.
보통 엄마는 그 시간에 아침을 차리셨거든요.

(잠시 침묵, 떨리는 목소리로)
근데 정말 조용했어요.
슬리퍼를 신고 거실로 나갔죠. 정말 조용해요. 그리고 추웠어요.
어딘가 창문이 열려 있었나 봐요.

복도 끝에 여동생이 보였어요.
부모님 침실을 들여다보고 있었어요.
그런데 이상한 건… 오줌을 흥건히 고인 채로 서 있었어요.
멍하니 바라보면서…
그 아이의 눈이…

(감정을 참으려 애쓰며)
문을 열고 방으로 들어갔을 때,
처음 본 건 창밖에 쌓여 있던 눈이었어요.
와, 눈이 어찌나 쌓였던지… 썰매 타러 갈 수 있을 것 같았어요.

그리고… 피…
침대가 피범벅이었어요. 벽에도 피가…
부모님이 침대 위에 계셨어요. 그리고 칼도…
그건 분명 칼이었어요…
나중에 알게 됐죠. 강도가 들었었고, 최소한 두 명이었다는 걸…
하지만 지금 당장은 제가 뭘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그냥 멍하니 보고만 있었죠.

나는 여동생이 더 이상 이걸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몸을 돌려서 그 아이를 밀고, 문을 닫았어요.
문고리에도 피가…

(작게 속삭이며)
레드요… 그게 다예요."

🎭 연기 코멘트:
이 장면은 켄이 가장 깊이 묻어둔 트라우마를 꺼내는 순간이다. 처음에는 차분하지만, 점점 감정이 요동쳐야 한다. 특히, ‘피’와 ‘부모님이 침대 위에 계셨어요’ 대목에서 감정을 억누르려 하지만 무너지듯 터져 나오는 느낌을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독백 3] - 좌절과 분노 (로스코를 향한 반격)

(켄이 로스코에게 반박하며, 시대가 변했음을 외치는 장면)

켄:
(비꼬는 듯한 어조로)
"선생님이 하신 말씀 기억하세요?
‘자식은 아버지를 몰아내야 해. 존경하지만 살해해야 하는 거야.’
그거 선생님이 하신 말이잖아요!
그럼 이제 선생님 차례입니다!
로스코 선생님! 퇴장하셔야죠!

왜냐하면… 팝아트가 추상표현주의를 몰아냈거든요.
전 그저 그들이 선생님과 선생님의 동료 분들보다 조금 더
동정심을 가지길 바랄 뿐이에요.
약간이라도 위엄 있는 모습으로 퇴장하시게 해주길 기도할 뿐이라고요.

생각해 보세요.
이 죽어가는 종족의 마지막 헐떡임을…
헛된 노력입니다."

🎭 연기 코멘트:
이 장면은 켄이 오랫동안 쌓아온 분노를 냉정한 논리로 폭발시키는 순간이다. 목소리는 날카롭고 도전적이어야 하며, 로스코를 몰아세우는 듯한 강한 태도가 필요하다. 특히 "이젠 선생님 차례입니다!"에서 확신과 공격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연극 레드의 캐릭터 포스터
출처 -뉴스테이지


[독백 4] - 예술에 대한 신념 (냉정한 지적)

(켄이 로스코의 작품관에 대해 도전하며 논리를 전개하는 장면)

켄:
(차분하지만 단호하게)
"블랙을 죽음으로 보는 건… 감상적인 거예요.
고리타분하고, 낭만적이죠.
솔직하지 못한 거라고요.

현실에서 블랙은 그냥 도구에 불과하잖아요.
이런 황토색이나 자홍색처럼 아무런 영향력이 없는 거죠.
블랙을 악의적으로 보는 건…
색채를 괴상하게 인격화하는 거 아닙니까?

그럼 화이트를 죽음으로 보는 건 어떨까요?
눈처럼, 창밖에 쌓여 있는 눈처럼.

(잠시 뜸을 들이며)
선생님은요.
그저 ‘블랙’이 레드를 삼켜버릴까 두려워하시는 거예요."

🎭 연기 코멘트:
이 장면은 켄이 냉정하고 논리적으로 로스코를 몰아붙이는 순간이다. 감정을 절제하고, 차분하지만 날카롭게 논리를 전개해야 한다. 상대를 압박하는 듯한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이 독백을 활용하면 연기 시험이나 연극에서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감정이 폭발하는 독백들은 완급 조절이 중요하며, 감정이 서서히 고조되는 흐름을 신경 써야 한다.

 

추가 팁을 원하시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Actor’s Lab: Backstage 우리만의 공간] - 연극 '레드' 희곡 분석 1부: 핵심과 배경 분석 for 연기과

 

연극 '레드' 희곡 분석 1부: 핵심과 배경 분석 for 연기과

연극 '레드'(Red)는 단순한 예술가의 이야기라기보다,예술과 삶, 창작과 소비,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깊이 있게 파고드는 작품입니다.제가 애정하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중앙대학교도 그렇고 입

oscartheart.tistory.com

 

 

[Actor’s Lab: Backstage 우리만의 공간] - 연극 '레드' 희곡 분석 2부: 캐릭터 분석과 연기 접근법 for 연기과

 

연극 '레드' 희곡 분석 2부: 캐릭터 분석과 연기 접근법 for 연기과

연극 '레드'(Red)는 단순히 예술을 다루는 작품이 아닙니다.이 작품의 진짜 힘은 두 인물의 내면과 그들이 충돌하며 변화하는 과정에 있습니다.이번 편에서는 마크 로스코와 켄, 두 캐릭터를 심층

oscartheart.tistory.com

 

 

[Actor’s Lab: Backstage 우리만의 공간] - 연극 '레드' 희곡 분석 3부: 주요 장면 분석과 실전 연습법 for 연기과

 

연극 '레드' 희곡 분석 3부: 주요 장면 분석과 실전 연습법 for 연기과

희곡 '레드'(Red)는 단순한 대화극이 아닙니다.각 장면마다 강렬한 감정의 흐름이 있고, 이를 무대에서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연기의 깊이가 달라집니다.이번 편에서는 가장 중요한 장면들을

oscartheart.tistory.com

 

 

728x90